유디치과 미아점(임플란트의 안정성 평가)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쉬운 방법이 방사선 사진 상에서 임플란트 주위와 주위 뼈 사이에 투과상은 없는지 사진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차 수술 후 힐링 지대주를 미러의 손잡이와 같은 단단한 물체로 살짝 때려 보면서 그 소리를 듣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이런 방법들은 대부분 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많이 의존하기에 이런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명주파수측정(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라는 장치를 이용합니다.
재현성이 높으며 임플란트의 안정성 변화를 탐지하여 임플란트 부하시기를 결정하고 예후를 판단하기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3.5 Khz에서 8.5 Khz의 공명 주파수를 ISQ값으로 전환하여 1에서 100까지 나타내며 값이 높을수록 골내에 임플란트 고정력이 더 강하다고 평가 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립 후 1년 이내에 ISQ값이 57에서 82사이를나타낼때 골유착이 성공적으로 보고 있고 50이하는 일반적으로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저희 유디치과 미아점에서는 디오 임플란트에서 판매하는 자기공명 안정장치인 IDX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이 장치를 언제 어떻게 사용하게 될까요?
♧환자와 의사간 혹은 의료진 간에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패 가능성이 있거나 높아보이는 임플란트를 미리 객관적으로 예즉할 수 있습니다.
♧보철물의 부하시기를 결정하는데 자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별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 옵션을 차등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1. 장치의 전원을 키고 측정하고자 하는 치아 부위를
활성화 시킵니다.
2.smart peg를 해당 부위의 임플란트에 적당한 힘으로 고정시킵니다.
3. 치아의 앞쪽에서 측정을 합니다.
4. 치아의 옆쪽에서 측정을 합니다.
약 3 -5 mm떨서져서 45도 각도로 측정합니다.
측정된 값중 높은 값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차 수술중 확인 증례)


수련시절 RFA를 정말 많이 사용했습니다. 보철과와 같이 연계된 논문이 있어서 isq 측정하는 작업을 수련의들이 많이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제는 20년 이상 검증된 임플란트 안정성 장치로 자리 잡았습니다. 저희 병원에서도 예지성 있는 진료를 위해서 많이 사용할 계획입니다.
♡ 꼭 필요했던 기구였는데 차일 피일 미루다가 이제서야 장치를 구비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조건으로 저희 병원을 위해서 기증해 주신 디오 임플란트 유정만 차장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