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료에 관한 글

유디치과 미아점(골다공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서리풀 김박사 2023. 4. 20. 08:51

요즘 환자분들의 지난 의학적 기록들을 살펴보면 골다공증약을 복용하는 경우를 예전에 비하여 자주 접하게 됩니다.

제가 처음 면허를 받았던 초창기인 2000년대 초반에는 거의 그 경각심이 부각되지 않았으나

치과 임플란트가 대중화가 되면서  임플란트로 인한 골다공증 환자의  부작용이 시술량과 비례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골의 미세 구조의 변화로 뼈가 약화되고 골절되기 쉬워지는 전신적인 질환을 의미합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성인 평균에서 -2.5 표준편차 이하로 감소된 경우를 말하며 -1.0 ~ -2.5 표준편차 사이로 감소된 경우  골감소증으로 진단 합니다.


골다공증의 분류

일차성 골다공증으로
여성분의 폐경과 연령의 증가로 인한 퇴행성 골다공증이라칭하며  각각을 제 1형 과 제 2형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차성 골다공증은
특정한 질환과 연관되어 나타나며
약 5%의 비율로 나타납니다.


임상적으로 치과에서 접하게 되는 골다공증은
임플란트의 실패할 확율을 조금  높아지게 하며
신경손상 및 당뇨환자의 임플란트 치료와 유사한 면이 많습니다.
어느 정도  만성적인 성격의 질환과 유사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제 경험상  경구용 환자에서는 거의 문제가 생기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3년 이하의 복용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실제로도 보고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5년 이상의 복용은 위험성이 많이 증가합니다.
그것도 확율적인 것이라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골다공증 약물입니다.

IV  : Pamidronate(Aredia 100)
        Zoledronate(Zometa 100,000)

경구 투여용 : Alendronate(Fosamax 1,000)
                    Risedronate(Actonel 5,000)

약의 이름에 적혀 있는 수치는 RAP(relative anti resorptive potency)값으로 이것이 높을수록 bone turn over rate 가 줄어들어서 골괴사가 생길 확율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수치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사제가 RAP값이  월등히 높은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주사제가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저희 지점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구복용자의 경우 임플란트 수술전 3개월 정도  약을 끊게 하고 1개월 더 추가하여 4개월 정도 끊게 합니다.

☆ 주사제 같은 경우 6개월정도 끊고 나서 수술에 임하게 됩니다.

☆ 만약 임플란트가 실패할 경우 제거를 시행하고 주변의 괴사된 골을 제거합니다.  노출된 골이 치유가 되지 않는다면 대학병원으로 의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