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심하게 퇴축된 하악 구치부에서는 위에 보이는 노란선처럼 하치조 신경관이 주행하고 있어서 실제로 임플란트를 심을때 해부학적 장애로 작용합니다.
일반적인 임플란트는 최근 5 mm 정도의 길이의 특수 임플란트도 나오고 있지만 임상적 경험상 7 - 8 mm 이상의 길이의 임플란트를 식립할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심하게 퇴축된 하악 구치부의 치료 방법은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기존의 하악 무치악인 경우 크게 4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반적인 총의치 입니다.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며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치료 방법이지만 퇴축된 하악 구치부로 인하여 낮아진 치조정 때문에 틀니의 유지가 어렵게 됩니다. 환자분들이 많이들 불편해 하시지만 어쩔수 없는 경우에 약국에서 틀니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임플란트를 이용한 틀니입니다.
하악치아에 뼈가 풍부한 양측 신경과 사이에 2개에서 4개의 임플란틀를 심어서 임플란트 상단에 자석이나 혹은 똑딱이 단추를 연결하여서 틀니를 유지해 주는 방법입니다. 요즘도 많이 하는 치료 방법이며 보통 아래턱에는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많이 진행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리 좋아하는 치료 방법은 아닙니다. 이유는 시간이 좀 흐르면 상단의 똑딱이 단추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빈번하며 치조정의 변형으로 틀니가 맞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리고 저는 환자분이 무치악으로 있는 상황을 좋아하지 않아서 틀니를 제거했을 시에도 최소한 앞니 브릿지가 있는 상황을 선호하고 실제적으로도 이런경우가 환자분들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3.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틀니
이 방법은 양 이공 사이 즉 좌, 우 제 2소구치 부위까지 고정성 보철물로 완성하고 나머지 구치부는 부분 틀니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부분 틀니를 취침이나 따른 문제로 빼고 있는 상황에서도 앞니 부위가 있기에 심적으로 굉장한 만족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환자분들의 만족도가 아주 높은 치료입니다. 다만 아쉬운점은 그래도 부분 틀니를 착용해야 하기에 완전한 고정성 보철물 보다는 만족도가 조금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4.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이 방법은 양측 이공 사이에 5개 전후를 심은뒤
최후방 임플란트로 부터 후방 약 15 mm 까지 보철물을 만들어서 완전한 고정성 보철물로 만들어 드리는 방법입니다.
기존에 부분틀니를 사용하셨거나 아니면 무치악 상태의 틀니를 사용했던 환자분들이라면 아주 만족도가 높은 치료 입니다. 단점이 있다면 최후방 임플란트로부터 약 15mm만 연장이 가능하기에 보통 제1대구치 까지만 제작이 됩니다.



퇴축된 하악 구치부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통 이른 나이에 치주염을 심하게 앓았던 분들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오랬동안 치아가 안좋았던 경험이 있으셔서 마지막 남은 전치부를 다 발치하시고 구치부도 임플란트 식립 불가라는 얘기에 많이 상심하시지만 지금처럼 제시해드린 마지막 방법으로 충분히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받으실수 있습니다.
'병원 진료에 관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디치과 미아점(수면 마취를 이용한 자가치아뼈를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 (0) | 2023.08.01 |
---|---|
유디치과 미아점(수면 마취 수술 1년을 돌아보며) (0) | 2023.07.28 |
유디치과 미아점(외과적 수술 후 신경손상에 관한 고찰) (0) | 2023.07.22 |
유디치과 미아점(호흡이 아주 긴 치료를 종결하며) (0) | 2023.07.18 |
유디치과 미아점(사랑니 발치후 치조골염 (드라이 소켓))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