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료에 관한 글

유디치과 미아점(수면 마취를 이용한 신경관 침범 치아의 발치 증례)

서리풀 김박사 2023. 9. 8. 18:35
초진 사진입니다.
외래에서 발치후 좌측 사랑니 부위에 잔존치근이 남아 있는 모습입니다. 너무 심한 고통을 호소 하셔서 발치를 중단하였습니다.

 
제3대구치인 사랑니 발치는 치아의 위치나 앞치아와의 관계등 여러가지 변수에 의해서 그 발치의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치아가 간혹 신경관과 밀접하게 붙어 있거나 이번 증례처럼 침범해 있는 경우도 난이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젊은 여성 환자분은 외래로 내원하셔서 기본 검진후 발치를 시행할려고 계획 했던 환자분입니다. 파노라마 사진상 수직으로 치관이 노출되어 있어서 충분한 전달 마취면 발치가 가능하다고 판단 했지만 발치 도중 치관이  부러지고 나서 남아 있는 잔존 치근을 발치 할려고 할때 심각한 통증을 호소 하셨습니다. 

3d-CT 상 치근의 일부 부위가 신경관에 침범한 상태라 살짝만 힘을 줘도 환자분이 자지러지듯 아파하셔서 결국은 치관 부위만 제거하고 당일은 진료를 그만두었습니다.

추후에 발치 하려고 하였으나 최대한 빠른 시간에 발치를 원하셔서 수면마취 후 사랑니를 발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수면 마취후 주위 충분한 마취를 시행하고 잇몸을 최대한 절개하고 주위를 마취해 가면서 천천히 진행하여 약 10여분만에 마무리 하였습니다.

몇일전 외래에서 발치중 너무 아파서 많이 힘들어 하셨는데 수면으로 최대한 덜 아프게 발치 진행해 드렸습니다.  다음날 소독 받으러 오셔서 괜찮다고 하셔서 천만 다행이었습니다.

발치와가 크고 신경과 밀접해 있어서 흡수성 콜라겐을 넣는 모습입니다.

 

발치와 내에서 흡수성 콜라겐이 빈 공간을 다 차지하고 있으며 지혈작용까지 겸하는 모습입니다,
정확히 잘라낸 치아의 모습입니다.

 

발치후 방사선 사진입니다 모든 뿌리가 깔끔하게 뽑혔습니다.
평면 뷰에서 신경관과 치아가 겹치는 모습입니다.
위에 노란 부분이 신경과의 위치를 제가 표시했습니다. 우측으로 보시면 치아 뿌리가 대략적으로 신경관과 붙어 있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번 환자분은 일상적인 어렵지 않은 사랑니 발치이지만 치아가 신경과 밀접하게 닿아 있는 경우는 기존의 전달마취를 하더라도 발치시 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또 한번 경험했습니다.

즉 발치의 난이도가 갑자기 수직 상승하게 됩니다.

수면으로 하는 발치가 이런 신경관과 밀접하게 닿아 있어서 발치가 고통스러운 환자분
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