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료에 관한 글

유디치과 미아점(치아 외상에 관하여)

서리풀 김박사 2023. 9. 27. 12:04

치아의 외상은 파절과 치아탈구가 동반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 했을때  파절은 비교적 뼈와 주위조직이 단단한 성인에게서 많이 일어나고 탈구는 치아의 주위조직이 비교적 덜 성숙한 아이나 젊은 사람에게서 자주 일어납니다.
 
치아 및 주위 조직의 손상은 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를 야기하며 또한 손상 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이 쉽지 않은 경우도 흔히 접하게 됩니다. 외상으로 인한 치아손상은 전 연령대에서 일어나며 보통 아주어린 어린아이에게서 발생의 빈도가 가장 높지만 지금은 노령분들까지 활동 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전 연령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치아 외상의 원인은
 
- 어린 아이가 의자에서 떨어지는 경우나
   넘어져서   앞니가 손상되는 경우

- 폭력에 의한 안면부의 손상과 동반한 치아의 손상
   교통사고의 외상과 동반된 경우

- 젊은 연령층에서 일어나는 운동이나
   폭행등으로 인한 손상

- 노령층에서 일어나는 치아손상
   등으로 나누어 볼수 었습니다. 
 
진단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진이 가장 우선시 됩니다
  구강내 점막 및 치은의  출열부위 종창 열상등을 평가합니다.  치열의 이상 유무 교합 치아의 변위  파절등을 검사합니다. 
 
(2)  치아 동요도 검사
   외상 부위의 치아를 치과 기구를 이용하여 평가함.    
   미완성 근첨의 경우 원래 흔들릴 수 있으므로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치조골의 골절의 움직임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타진
   치아 주위의 지지조직이 손상을 받았을 경우 에는 약간의 타진에도 예민한 반응을 보입니다. 
 
 (4)  치수 생활력 검사
    외상받은 치아의 치수 생활력 검사는 치수 신경의 손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외상 후 실활여부를 판단하여 진행합니다. 
 
 (5) 방사선 사진 검사
   치아 외상시 방사선 사진 촬영은 치근파절부터 여러 변위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촬영은 악골의 골절 여부 및 전반적인  치아 손상 상태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조직손상의  기준으로 분류 했을때  다음과 같습니다.  
 
(1)  진탕(concussion)
치아의 비정상적인 동요나 변위없이 타진에만 예민하게 반응하는 치아지지조직의 손상된 상태
 
(2) 아탈구(subluxation)
치아의 변위는 없으나 비정상적인 동요를 수반한 치아지지조직의 손상된 상태
 
(3) 측방탈구(lateral luxation)
치아의 장축방향 이외의 변위된 상태
 
(4)  정출(extrusion)
 치아의 장축방향으로의 변위 중 치조와 외측으로의 탈구된 상태
 
(5) 치아함입(intrusion)
치아의 장축방향으로의 변위 중 치조와 내측으로 탈구된 상태
 
(6) 치아이단(avulsion)
 치아가 치조와로부터 완전히 탈락된 상태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탕의 경우는 손상치나 대합치의 교합조정을 하여서 닿지 않게 해줍니다 .
 
- 아탈구의 경우 고정은 필요 없으나 광범위하게 손상된 경우 7 - 10일 정도 고정해 줍니다. 치수괴사에 대해서 경과 관찰이 요합니다 
 
- 측방탈구는 치조골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소 마취하에 정복술을 진행하고 14일 정도 고정합니다. 변위된 치아는 근관치료를 시행합니다. 
 
- 정출치아는 국소마취하에 치아를 정위치 시키고 2-3주간 고정을 시행합니다. 
 
-  치아함입의 경우는 외과적으로 정위치하는 경우 치근외흡수, 치조골 정상부의 상실등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치수 괴사가 일어나므로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정기적인 검사가 요구됩니다. 
 
- 치아이단은 빠른 재식술을 시행합니다. 

 
 
 ** 어제 오후 저희병원 브랜드와 지점 관리를 도와주시는 과장님이 환자를 한분 저희 병원으로 보내주셨습니다.

나이는 20대 초반의 젊고 건강한 남자 학생분이었습니다. 당일 새벽에 전동 퀵보드를 타다가 넘어져서
응급실에 내원하여 급한대로 얼굴부위는 치료를 받고 당일 오후에 저희병원에 내원한 환자분이었습니다.
 
다행히 임상 사진상 보았을때 턱뼈 골절이나 치조골 그리고 치아의 골절이나 파절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정말 불행중 다행이었습니다. 
 
우선 시진으로 보았을때 구강안에 심한 출혈은 관찰되지 않았고 교합도 정상이었습니다.
 
교합이 틀어졌다면 이는 하악골이나 상악골의 골절을 의심할 수 있지만

다행히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고 타진검사를 시행시 전치부 3개의 치아가 심한 타진반응을 확인하였습니다.

타진시 굉장한 통증을 호소하셨습니다. 
 

근관치료를 시행하는 모습입니다.
제가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을 진행하는 모습입니다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을 완성한 모습입니다.

모든 검사소견을 종합하여 치아의 아탈구로 진단을 내렸습니다.
 
환자분이 어제 외상의 충격으로 얼굴 부위의 손상이 심해서 입술을 기구를 이용하여 거상시에도 통증을 호소하셨고 현재 동통에 예민해져 있어서 다음날 수면으로 마취한 뒤 치료로 계획을 잡았습니다. 
 
하루동안 항생제와 소염진통제로 치아 주위조직의 염증을 조금 이완시키고 통증의 경감과 원활한 치료를 위해서 수면으로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치아의 아탈구인 경우 실활 테스트를 거치지만 현재의 상태와 향후 변색등 모든걸 고려하여 수면 마취시 해당 치아의 근관 치료도 같이 병행하였습니다.

근관치료 시행 후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 시행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환자분의 상태는 아탈구였습니다.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을 2주내로 진행예정입니다.

모든 시간적인 요소등 충분히 고려하여 신경치료를 진행하고

향후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주기적인 경과 관찰 예정입니다. 

돌발적인 사고로 심적으로 스트레스가 컸을텐데 제가 가장 주의한 부분은 최대한 아프지 않는 치료와  향후 일정이었습니다.

이 모든걸 고려하여 수면마취하에 신경 치료와 레진 와이어 스플린팅을 시행하였습니다.

 

빠른 시간 모든 피부의 상처및 치아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기를 바랍니다. 

 
 이번회차에는 치아의 외상중 주위 조직손상에 관하여 알아보아았습니다.  다음 기회에는 치아의 파절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